본문 바로가기
성경 묵상

139일째 Qt 신명기 11장 제사는 성소에서만 드린다는 구절

by one_soul 2025. 2. 17.
반응형

신명기 12

1네 열조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게 주셔서 얻게 하신 땅에서 너희가 평생에 지켜 행할 규례와 법도는 이러하니라 2너희가 쫓아낼 민족들이 그 신들을 섬기는 곳은 높은 산이든지 작은 산이든지 푸른 나무 아래든지 무론하고 그 모든 곳을 너희가 마땅히 파멸하며 3그 단을 헐며 주상을 깨뜨리며 아세라 상을 불사르고 또 그 조각한 신상들을 찍어서 그 이름을 그곳에서 멸하라 4너희 하나님 여호와에게는 너희가 그처럼 행하지 말고 5오직 너희 하나님 여호와께서 자기 이름을 두시려고 너희 모든 지파 중에서 택하신 곳인 그 거하실 곳으로 찾아 나아가서
6너희 번제와 너희 희생과 너희의 십일조와 너희 손의 거제와 너희 서원제와 낙헌 예물과 너희 우양의 처음 낳은 것들을 너희는 그리로 가져다가 드리고 7거기 곧 너희 하나님 여호와 앞에서 먹고 너희 하나님 여호와께서 너희 손으로 수고한 일에 복 주심을 인하여 너희와 너희 가족이 즐거워할찌니라 8우리가 오늘날 여기서는 각기 소견대로 하였거니와 너희가 거기서는 하지 말찌니라 9너희가 너희 하나님 여호와의 주시는 안식과 기업에 아직은 이르지 못하였거니와 10너희가 요단을 건너 너희 하나님 여호와께서 너희에게 기업으로 주시는 땅에 거하게 될 때 또는 여호와께서 너희로 너희 사방의 모든 대적을 이기게 하시고 너희에게 안식을 주사 너희로 평안히 거하게 하실 때에 11너희는 너희 하나님 여호와께서 자기 이름을 두시려고 한 곳을 택하실 그곳으로 나의 명하는 것을 모두 가지고 갈찌니 곧 너희 번제와 너희 희생과 너희 십일조와 너희 손의 거제와 너희가 여호와께 서원하는 모든 아름다운 서원물을 가져가고 12너희와 너희 자녀와 노비와 함께 너희 하나님 여호와 앞에서 즐거워할 것이요 네 성중에 거하는 레위인과도 그리할찌니 레위인은 너희 중에 분깃이나 기업이 없음이니라 13너는 삼가서 네게 보이는 아무 곳에서든지 번제를 드리지 말고 14오직 너희의 한 지파 중에 여호와의 택하실 그곳에서 너는 번제를 드리고 또 내가 네게 명하는 모든 것을 거기서 행할찌니라 15그러나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게 주신 복을 따라 각 성에서 네 마음에 즐기는 대로 생축을 잡아 그 고기를 먹을 수 있나니 곧 정한 자나 부정한 자를 무론하고 노루나 사슴을 먹음 같이 먹으려니와 16오직 그 피는 먹지 말고 물 같이 땅에 쏟을 것이며 17너는 곡식과 포도주와 기름의 십일조와 네 우양의 처음 낳은 것과 너의 서원을 갚는 예물과 너의 낙헌 예물과 네 손의 거제물은 너의 각 성에서 먹지 말고
18오직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택하실 곳에서 네 하나님 여호와 앞에서 너는 네 자녀와 노비와 성중에 거하는 레위인과 함께 그것을 먹고 또 네 손으로 수고한 모든 일을 인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 앞에서 즐거워하되 19너는 삼가서 네 땅에 거하는 동안에 레위인을 저버리지 말찌니라 20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게 허락하신대로 네 지경을 넓히신 후에 네 마음에 고기를 먹고자 하여 이르기를 내가 고기를 먹으리라 하면 네가 무릇 마음에 좋아하는대로 고기를 먹을 수 있으리니
21만일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자기 이름을 두시려고 택하신 곳이 네게서 멀거든 내가 네게 명한대로 너는 여호와의 주신 우양을 잡아 너의 각 성에서 네가 무릇 마음에 좋아하는 것을 먹되 22정한 자나 부정한 자를 무론하고 노루나 사슴을 먹음 같이 먹을 수 있거니와 23오직 크게 삼가서 그 피는 먹지 말라 피는 그 생명인즉 네가 그 생명을 고기와 아울러 먹지 못하리니 24너는 그것을 먹지 말고 물 같이 땅에 쏟으라 25너는 피를 먹지 말라 네가 이같이 여호와께서 의롭게 여기시는 일을 행하면 너와 네 후손이 복을 누리리라 26오직 네 성물과 서원물을 여호와께서 택하신 곳으로 가지고 가라 27네가 번제를 드릴 때에는 그 고기와 피를 네 하나님 여호와의 단에 드릴 것이요 다른 제 희생을 드릴 때에는 그 피를 네 하나님 여호와의 단 위에 붓고 그 고기는 먹을찌니라 28내가 네게 명하는 이 모든 말을 너는 듣고 지키라 네 하나님 여호와의 목전에 선과 의를 행하면 너와 네 후손에게 영영히 복이 있으리라 29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가 들어가서 쫓아 낼 그 민족들을 네 앞에서 멸절하시고 너로 그 땅을 얻어 거기 거하게 하실 때에
30너는 스스로 삼가서 네 앞에서 멸망한 그들의 자취를 밟아 올무에 들지 말라 또 그들의 신을 탐구하여 이르기를 이 민족들은 그 신들을 어떻게 위하였는고 나도 그와 같이 하겠다 하지 말라 31네 하나님 여호와께는 네가 그와 같이 행하지 못할 것이라 그들은 여호와의 꺼리시며 가증히 여기시는 일을 그 신들에게 행하여 심지어 그 자녀를 불살라 그 신들에게 드렸느니라 32내가 너희에게 명하는 이 모든 말을 너희는 지켜 행하고 그것에 가감하지 말찌니라
 
 
 
 

Deuteronomy 12

The One Place of Worship
1These are the decrees and laws you must be careful to follow in the land that the Lord, the God of your ancestors, has given you to possess—as long as you live in the land. 2Destroy completely all the places on the high mountains, on the hills and under every spreading tree, where the nations you are dispossessing worship their gods. 3Break down their altars, smash their sacred stones and burn their Asherah poles in the fire; cut down the idols of their gods and wipe out their names from those places.
4You must not worship the Lord your God in their way. 5But you are to seek the place the Lord your God will choose from among all your tribes to put his Name there for his dwelling. To that place you must go; 6there bring your burnt offerings and sacrifices, your tithes and special gifts, what you have vowed to give and your freewill offerings, and the firstborn of your herds and flocks. 7There, in the presence of the Lord your God, you and your families shall eat and shall rejoice in everything you have put your hand to, because the Lord your God has blessed you.
8You are not to do as we do here today, everyone doing as they see fit, 9since you have not yet reached the resting place and the inheritance the Lord your God is giving you. 10But you will cross the Jordan and settle in the land the Lord your God is giving you as an inheritance, and he will give you rest from all your enemies around you so that you will live in safety. 11Then to the place the Lord your God will choose as a dwelling for his Name—there you are to bring everything I command you: your burnt offerings and sacrifices, your tithes and special gifts, and all the choice possessions you have vowed to the Lord. 12And there rejoice before the Lord your God—you, your sons and daughters, your male and female servants, and the Levites from your towns who have no allotment or inheritance of their own. 13Be careful not to sacrifice your burnt offerings anywhere you please. 14Offer them only at the place the Lord will choose in one of your tribes, and there observe everything I command you.
15Nevertheless, you may slaughter your animals in any of your towns and eat as much of the meat as you want, as if it were gazelle or deer, according to the blessing the Lord your God gives you. Both the ceremonially unclean and the clean may eat it. 16But you must not eat the blood; pour it out on the ground like water. 17You must not eat in your own towns the tithe of your grain and new wine and olive oil, or the firstborn of your herds and flocks, or whatever you have vowed to give, or your freewill offerings or special gifts. 18Instead, you are to eat them in the presence of the Lord your God at the place the Lord your God will choose—you, your sons and daughters, your male and female servants, and the Levites from your towns—and you are to rejoice before the Lord your God in everything you put your hand to. 19Be careful not to neglect the Levites as long as you live in your land.
20When the Lord your God has enlarged your territory as he promised you, and you crave meat and say, “I would like some meat,” then you may eat as much of it as you want. 21If the place where the Lord your God chooses to put his Name is too far away from you, you may slaughter animals from the herds and flocks the Lord has given you, as I have commanded you, and in your own towns you may eat as much of them as you want. 22Eat them as you would gazelle or deer. Both the ceremonially unclean and the clean may eat. 23But be sure you do not eat the blood, because the blood is the life, and you must not eat the life with the meat. 24You must not eat the blood; pour it out on the ground like water. 25Do not eat it, so that it may go well with you and your children after you, because you will be doing what is right in the eyes of the Lord.
26But take your consecrated things and whatever you have vowed to give, and go to the place the Lord will choose. 27Present your burnt offerings on the altar of the Lord your God, both the meat and the blood. The blood of your sacrifices must be poured beside the altar of the Lord your God, but you may eat the meat. 28Be careful to obey all these regulations I am giving you, so that it may always go well with you and your children after you, because you will be doing what is good and right in the eyes of the Lord your God.
29The Lord your God will cut off before you the nations you are about to invade and dispossess. But when you have driven them out and settled in their land, 30and after they have been destroyed before you, be careful not to be ensnared by inquiring about their gods, saying, “How do these nations serve their gods? We will do the same.” 31You must not worship the Lord your God in their way, because in worshiping their gods, they do all kinds of detestable things the Lord hates. They even burn their sons and daughters in the fire as sacrifices to their gods.
32See that you do all I command you; do not add to it or take away from it.
 
 

 
질문 : 신명기 12장에 의거해서 제물은 성소에서만 바칠 수 있게 된거야?

 

 

네, 신명기 12장에 의거해서 이스라엘 백성은 제물을 '성소'에서만 바쳐야 하는 규정이 생겼습니다.
이 규정은 예배의 통일성과 우상 숭배 방지를 위한 것이었어요.


🔎 신명기 12장의 내용과 배경

  1. 하나님께서 택하신 '한 장소'에서만 제사를 드리도록 명령함
    • 이곳이 훗날 예루살렘 성전이 됩니다.
    • 이전에는 각 지역의 산당에서 제사를 드리거나 아브라함, 이삭, 야곱처럼 개인 제단을 쌓아 예배를 드렸어요.
    • 하지만 가나안에 들어가면서 우상 숭배와 혼합될 위험이 있었기 때문에 이를 막기 위해 한 장소에서만 제사를 드리도록 한 거예요.

✔️ 신명기 12:5-6
"오직 너희 하나님 여호와께서 자기 이름을 두시려고 택하신 곳으로 찾아 나아가서... 너희의 번제와 희생과 십일조와... 그곳에서 드릴지니라."

📌 즉, 하나님께서 택하신 '성소'에서만 제사를 드리라는 명령이에요.
👉 이후, 이 성소는 '예루살렘 성전'으로 구체화되었죠.


📌 왜 성소에서만 제사를 드리게 했는가?

1️⃣ 우상 숭배 방지

  • 가나안 땅에는 우상을 섬기는 산당이 많았어요.
  • 이스라엘이 각자 산당에서 제사를 드리면 가나안의 우상 숭배 문화와 혼합될 위험이 있었죠.

✔️ 신명기 12:2-3
"너희가 쫓아낼 민족들이 그들의 신들을 섬기던 모든 곳... 산 위나 언덕 위나 모든 푸른 나무 아래를 깨끗이 멸하라."

📌 즉, 가나안의 우상 숭배 장소를 제거하고, 하나님께만 예배하도록 한 거예요.


2️⃣ 예배의 통일성과 신앙 순결 유지

  • 한 장소에서 예배하게 함으로써 예배의 통일성을 유지할 수 있었어요.
  • 이스라엘 백성이 다양한 지역에 흩어져 살면서도 한 곳에서 하나님을 예배함으로 신앙의 순결과 정체성을 지킬 수 있었죠.

✔️ 신명기 12:8
"우리가 오늘 여기에서는 각기 소견대로 하였거니와... 그렇게 하지 말지니라."

📌 즉, 각자 자기 방식대로 예배하는 것을 금지하고, 하나님께서 정하신 방식으로 예배하도록 한 거예요.


3️⃣ 제사의 신성함과 거룩함 유지

  • 제사는 거룩한 행위이기 때문에 하나님이 정하신 성소에서만 드리도록 했어요.
  • 성소는 하나님이 임재하시는 곳이므로, 그곳에서만 제사를 통해 죄 사함과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이 가능했죠.

✔️ 신명기 12:11
"너희 하나님 여호와께서 자기 이름을 두시려고 택하신 곳으로... 너희의 번제물과 희생제물을 드리며..."

📌 즉, 제사를 통해 죄 사함과 하나님과의 교제를 이루려면 거룩한 장소에서 드려야 했어요.


⛪ 그 후의 역사적 전개

  1. 초기에는 '실로'에서 성막이 세워져 제사를 드림
  2. 다윗 왕 때 예루살렘으로 이동, 솔로몬이 예루살렘 성전을 건축
  3. 예루살렘 성전이 '성소'의 역할을 하게 됨
  4. 이후 모든 제사와 절기는 예루살렘 성전에서만 드리게 됨

💡 정리하면...

  • 신명기 12장에 따라 **성소(예루살렘 성전)**에서만 제물을 바치게 된 이유는:
    1. 우상 숭배 방지
    2. 예배의 통일성과 신앙 순결 유지
    3. 제사의 신성함과 거룩함 유지

📌 즉, 하나님만을 섬기고, 순결한 신앙을 지키기 위한 하나님의 보호 장치였어요.
👉 결국 이 규정은 이스라엘이 가나안에서 거룩한 백성으로 살아가도록 하기 위한 하나님의 뜻이었죠. 🙏

 

 

질문 : 그럼 그 많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성소에 다들 모여서 한번에 제사와 예배를 드린거야?

 

아니요, 이스라엘 백성들이 모두 한 번에 성소에 모여 제사를 드린 것은 아니에요.
시간과 절기에 따라 순서대로 나누어서 성소에 모였고, 특별한 절기에는 대표자들이 모이기도 했습니다.


🔎 이스라엘 백성들이 성소에서 예배드린 방식

  1. 평소에는 개별 가정이나 개인이 필요에 따라 성소에 나아가 제사를 드림
    • 각자 죄사함이나 서원, 감사를 위해 개별적으로 성소에 갔어요.
    • 항상 많은 인원이 몰린 것이 아니라, 가정별로 또는 개인별로 필요에 따라 방문했죠.

  1. 세 가지 주요 절기에만 모든 남자가 성소에 모임
    • 출애굽기 23:14-17에 따라, 이스라엘 남자들은 매년 세 가지 절기에 반드시 성소에 모여 예배드렸어요:
      1. 유월절(무교절) - 애굽 탈출 기념
      2. 칠칠절(오순절) - 첫 수확 감사
      3. 초막절 - 광야 생활 기념

✔️ 신명기 16:16
"너의 모든 남자는 일 년에 세 번 곧 무교절과 칠칠절과 초막절에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택하신 곳에서 여호와께 보이되..."

📌 이때는 남자 대표들이 모였고, 온 가족이 가는 경우도 있었지만 항상 모두가 모인 것은 아니었어요.


  1. 대표자들이 모이는 방식
  • 모든 사람이 모이기 어려운 때에는 대표자들이 참석했어요.
  • 예를 들어, 민족적 회개전쟁 전 기도 등 특별한 상황에서는 각 지파의 대표자들만 모였죠.

  1. 순차적으로 나누어서 제사를 드림
  • 제사장은 한정된 인원이었기 때문에 순차적으로 제사를 드렸어요.
  • 예를 들어, 절기 동안에는 며칠 동안 나누어서 사람들이 제사를 드렸습니다.
  • 성소에서 혼잡하지 않도록 시간과 순서를 정해 드렸죠.

⛪ 예루살렘 성전 시대에는...

  • 예루살렘 성전은 규모가 커서 한 번에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었어요.
  • 하지만 여전히 모든 이스라엘 백성이 한 번에 모인 적은 없었고, 절기 기간 동안 나누어서 예배드렸습니다.
  • 제사장들도 24개의 반열로 나누어 교대로 섬겼어요 (역대상 24장 참고).

💡 정리하면...

  • 평소에는 각자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성소에 방문해서 제사를 드림.
  • 세 가지 주요 절기에는 대표자들이 모이거나 가족 단위로 나누어서 예배드림.
  • 절기 기간 동안에도 순차적으로 나누어 제사를 드려 혼잡을 피했음.
  • 모두가 한 번에 모여 예배드린 적은 없고, 시간과 순서에 따라 나누어서 예배드렸습니다.

📌 즉, 모든 이스라엘 백성이 동시에 모인 것이 아니라, 시기와 절기에 따라 나누어 예배드린 거예요. 🙏

 

 

질문 : 왜 피에 생명이 있다는거야? 거기에는 뭔가 말그대로 생명이 있다는거야? 아니면, 다른 의미가 있다는거야?

 

신명기 12장 23-25절에서 "피는 그 생명"이라고 말하는 것은 단지 상징적인 의미가 아니라, 생명에 대한 신학적이고 의학적인 이해가 담겨 있어요.


1. 말 그대로 피에 생명이 있다는 뜻?

  • 고대 이스라엘 사람들은 피가 생명을 유지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여겼어요.
  • 피가 순환하지 않으면 생명이 유지되지 않음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었죠.
  • 피가 신체의 생명을 유지하는 힘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생명 그 자체로 인식한 거예요.

2. 상징적 의미: 생명의 신성함

  • 피는 생명을 상징해요. 레위기 17:11에도 이렇게 나와 있어요:"육체의 생명은 피에 있음이라 내가 이 피를 너희에게 주어 제단에 뿌려 너희의 생명을 위하여 속죄하게 하였나니..."
  • 여기서 피는 속죄와 생명의 신성함을 나타내죠.
  • 생명은 하나님께 속한 것이기 때문에, 피를 먹지 말라는 것은 생명의 주권이 하나님께 있음을 인정하는 의미예요.

3. 왜 피를 땅에 쏟으라고 했을까?

  • 피를 땅에 쏟으라는 명령생명의 신성함을 존중하고, 피를 속죄의 재물로만 사용하기 위함이에요.
  • 피를 땅에 쏟는 행위생명이 하나님께 돌아감을 상징하며, 생명의 주인이 하나님이심을 인정하는 거죠.

4. 그럼 현대적인 의미는?

  • 현대에서는 피가 생명을 유지하는 역할을 과학적으로도 알고 있죠.
    • 피는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고 노폐물을 배출하며 신체를 유지합니다.
    • 고대인들도 이러한 생리학적 역할을 어느 정도 알았기에, 피를 생명 그 자체로 본 거예요.
  • 영적으로는 여전히 생명의 신성함을 상징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보혈로 이어져 구원의 상징으로 이해됩니다.

5. 정리하면...

  • 말 그대로: 피가 생명을 유지하는 물리적 역할 때문에 생명 그 자체로 여김.
  • 상징적으로: 생명의 신성함하나님의 주권을 상징.
  • 영적으로: 예수님의 보혈구원의 상징으로 이어짐.

📌 즉, 피에는 말 그대로 생명을 유지하는 힘이 있고, 동시에 생명의 신성함과 하나님의 주권을 상징하기 때문에 중요하게 여겨진 거예요. 🙏

 

 

 

질문 : 그렇다면 피는 그냥 물리적으로 피 이상으로 영적인 것, 즉 신성하다고 할 수 있는건가? 생명이 있기 때문에?

 

네, 그렇습니다. 성경에서는 피가 단순한 물리적인 액체가 아니라, 영적으로 신성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봅니다. 그 이유는 생명신성이 깊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에요.


1. 피는 왜 영적으로 신성할까?

  • 피는 생명 그 자체로 여겨졌습니다.
    • 레위기 17:11: "육체의 생명은 피에 있음이라..."
    • 여기서 피는 생명을 상징하며, 생명은 하나님께 속한 것이므로 피가 신성해요.
  • 생명의 주권이 하나님께 있으므로, 를 함부로 다루는 것은 생명을 경시하거나 하나님의 주권을 무시하는 것으로 여겨졌어요.

2. 피와 속죄의 연결

  • 구약에서 피는 죄를 속하는 재물로 사용되었어요.
    • 히브리서 9:22: "피흘림이 없은즉 사함이 없느니라."
    • 속죄의 대가이자 생명을 대신하는 희생이었기 때문에 영적인 신성함이 부여된 거예요.

3. 예수님의 보혈과 신성함

  • 예수 그리스도의 피우리 죄를 사하는 속죄의 피로 이해됩니다.
    • 마태복음 26:28: "이것은 죄 사함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
    • 여기서 예수님의 피는 구원의 상징이며, 영원한 생명하나님의 은혜를 상징해요.

4. 정리하면...

  • 물리적으로는: 생명을 유지하는 역할이 있지만,
  • 영적으로는: 생명을 대표하고 속죄, 구원, 언약, 신성을 상징해요.
  • 피가 신성한 이유는 생명이 그 안에 있다고 여기기 때문이고, 생명은 하나님께 속한 신성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 따라서 피는 단순히 물리적 액체 이상의 영적 신성함을 가진 것으로 이해됩니다. 생명을 상징하고, 생명의 주권이 하나님께 있다는 신앙 고백이죠. 🙏

 

 

질문 : 그럼 내 피도 신성한가?

 

좋은 질문이에요! **성경적으로 보면, '피' 자체보다는 '피가 상징하는 생명'**이 신성한 거예요. 그러면 사람의 피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1. 인간의 피는 신성한가?

  • 피 자체가 신성하다기보다는, 피가 상징하는 생명이 신성한 거예요.
  • 창세기 9:6: "사람의 피를 흘리면 그 피로 말미암아 그의 피도 흘릴 것이니 이는 하나님이 자기 형상대로 사람을 지으셨음이니라."
    • 여기서 피는 생명을 뜻하고, 생명은 하나님의 형상을 지닌 존재라 신성하고 존귀해요.
    • 즉, 네 피 자체가 신성하다기보다는, 네 생명이 신성한 거예요.

2. 왜 사람의 생명이 신성할까?

  • 하나님의 형상(Imago Dei):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되었기 때문에, 생명 자체가 신성하고 존귀해요.
  • 생명의 주권은 하나님께: 생명은 하나님이 주신 선물이기에, 인간의 생명과 피는 함부로 다룰 수 없는 신성한 것으로 여겨집니다.

3. 예수님의 피와 차이점은?

  • 예수님의 피죄를 사하고 구원을 주는 신성한 피로 특별한 영적 권위가 있어요.
  • 우리의 피구원의 능력은 없지만, 하나님의 형상을 지닌 생명을 담고 있어서 존귀하고 신성한 가치가 있는 거예요.

4. 정리하면...

  • 네 피 자체가 신성하다기보다는, 피가 담고 있는 생명이 신성해요.
  • 왜냐하면, 그 생명은 하나님께 속한 것이고, 하나님의 형상을 지닌 존재이기 때문이에요.
  • 인간의 생명과 피는 하나님 앞에서 존귀하며, 그렇기에 함부로 다뤄서는 안 되는 신성한 의미가 있는 거죠.

📌 결론적으로, 네 피 자체가 예수님의 피처럼 신성한 능력이 있는 건 아니지만, 네 생명이 하나님의 형상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신성하고 존귀한 가치가 있는 거예요! 🙏

 

 

질문 : 짐승들의 피도 먹지 말라는데 그건 하나님의 형상이 아니잖아

 

좋은 질문이에요! 짐승의 피도 먹지 말라는 이유는 인간과는 조금 다른 의미가 있어요.


1. 왜 짐승의 피도 먹지 말라고 했을까?

  • 레위기 17:11: "육체의 생명은 피에 있음이라 내가 이 피를 너희에게 주어 제단에 뿌려 너희 생명을 위하여 속죄하게 하였나니 생명이 피에 있으므로 피가 죄를 속하느니라."
    • 여기서 짐승의 피는 속죄 제사에서 사용되었어요. 생명(피)을 대신 내어줌으로 죄값을 치르는 상징이었죠.
    • 피에는 생명이 있다고 여겨졌고, 생명은 하나님께 속한 것이기 때문에 피를 먹는 것은 생명을 함부로 다루는 것으로 간주되었어요.

2. 짐승은 하나님의 형상이 아닌데 왜 생명이 신성할까?

  • 피는 생명의 상징이고, 생명의 주권은 하나님께 있어요.
  • 짐승의 피하나님의 생명 주권을 상징하기 때문에 존중하고 경외해야 할 대상으로 여겨진 거예요.
  • 창세기 9:4: "그러나 고기를 그 생명 되는 피째 먹지 말 것이니라."
    • 이 구절은 노아 언약 때부터 주어진 명령이에요.
    • 인간이 생명을 다스릴 권한은 있지만, 생명을 주관하는 권한은 하나님께 있다는 걸 기억하게 하려는 의도예요.

3. 정리하면...

  • 짐승의 피가 신성하다기보다는, 그 피에 담긴 생명의 주권이 신성한 거예요.
  • 생명의 주인은 하나님이시고, 피는 그 생명의 상징이기 때문에 함부로 먹지 말라는 명령이 주어진 거예요.
  • 이는 생명에 대한 경외와 존중을 가르치기 위한 규율이에요.

📌 결론적으로, 짐승의 피 자체가 신성한 건 아니지만, 그 피에 담긴 생명의 주권이 신성하기 때문에 하나님께 대한 경외심으로 먹지 말라고 하신 거예요! 🙏

 

 

 

 


 

나의 피가 담고 있는 생명이 신성하다는게, 무슨뜻일까

 

아까는 또 피 자체가 생명이라더니

 

챗지피티는 역시 아직은 신뢰도가 한 70%정도인것 같다. 

 

여하튼.. 신명기 11장에서 성소에서만 제물을 드린다는 이야기가 나오는거구나. 

그래서 예루살렘 성전이 파괴된 지금은 제사를 드리지 않고 말이다

 

하나님께서는 제사 드리는걸 왜 그치게 하신걸까? 이것도 하나님께서 의도하신것일까?

 

예수님 한분으로 이제 모든 제사는 끝났다는 시각도 있던데, 제사가 속죄를 드리는 의미만 있는건 아니었던것 같은데 말이다. '감사'의 제사도 있지 않은가... 

 

제사를 다시 하면 좋겠다고 생각하는게, 뭔가 사람들이 모여서 의례를 행한다면, 다 같이 한마음이 되는 기쁨을 느낄 수 있을것 같아서이다. 그리고 의례를 행하면서 뭔가 숭고한 감정도 느낄 지도 모르고 말이다. 과거에는 하나님과 소통하는 하나의 창구였는데, 그게 하나 사라진것이나 마찬가지이니까 조금 안타깝다는 생각이 든다. 

 

 

 

반응형